생성자 주입 방식 사용

주어진 스프링 코드에서 **BoardService**와 **MemberService**는 주입되었다고 볼 수 있습니다.
@RequiredArgsConstructor 어노테이션은 생성자 인젝션을 자동으로 생성해주는 롬복(Lombok) 어노테이션 중 하나입니다. 해당 어노테이션이 클래스에 붙어있으면, 해당 클래스의 의존성 주입이 필요한 필드를 갖는 생성자를 자동으로 생성해줍니다.
BoardController 클래스에서 @RequiredArgsConstructor 어노테이션이 사용되었으므로, 롬복이 자동으로 다음과 같은 생성자를 생성합니다:
public BoardController(BoardService boardService, MemberService memberService) {
this.boardService = boardService;
this.memberService = memberService;
}
따라서, **BoardService**와 **MemberService**는 생성자 인자로 받아와서 주입되어 **boardService**와 memberService 필드에 할당됩니다. 이를 통해 스프링 컨테이너에서 **BoardService**와 **MemberService**의 인스턴스를 주입받을 수 있게 됩니다. 주입은 스프링의 의존성 주입(Dependency Injection) 기능을 통해 이루어집니다. 주입된 빈들은 해당 클래스에서 사용될 수 있게 됩니다.
참고 → ‣