웹 서비스에서는 많은 정보를 송수신 하게 된다. 각각의 다른 웹 서비스들이 대화하려면, 서로 정해진 약속에 맞게 데이터를 가공해서 보내야 한다.
보내는 요청 및 데이터의 형식을 우리는 HTTP(HyperText Transport Protocol)이라고 한다.
Spring에서도 마찬가지로 HTTP에 맞게 데이터를 송수신해야한다. 요청에 대한 응답을 HTTP 형식으로 코드를 직접 작성하는 것은 쉬운 일이 아니다.
하지만 , 스프링에서는 ResponseEntity를 통해서, 빠르고 쉽게 규격에 맞는 HTTP 응답을 생성할 수 있다.
HTTP는 HyperText Transfer Protocol의 약자로, Client와 Server 사이에 요청과 응답을 처리하기 위한 규약이다.
HTTP는 요청과 응답 모두 크게 세 가지 요소로 구성된다.
먼저, HTTP요청은 크게 세 가지 요소로 구성이 된다.
Start Line, Headers 그리고 Body이다.
HTTP응답은 다른 요소인 Status Line과 요청도 가지고 있는 Headers, Body로 이루어져 있다.
⇒ Spring에서는 HTTP Response를 만드는 것이 주요한 관심사이다. 200,404 등 각각의 응답의 상태 코드뿐만이 아니라 , Body에 들어갈 내용도 넣어주어야 한다.